티스토리 뷰
- 코루틴
- heap 영역에 코드를 두고 실행 할 thread가 코드를 가져가 실행하는 형태
- 한 코드는 하나의 thread에서만 실행, 전용 thread를 만드는 것과는 차이가 있음
- java thread에 동시성 지원을 위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
- 코루틴 간에 메세지를 주고 받는 channel등 여러가지 개념이 존재
- 보통 rxjava보다 가독성이 뛰어나다는 이유로 사용
- 기본적으로 cpu core수와 같은 수의 thread를 가진다
- 결국 thread 기반이긴 함
- sync vs async, blocking vs nonblocking
- sync, async는 task가 순차 진행 되느냐 또는 동시/병렬로 진행되는가의 문제
- blocking, nonblocking은 io가 block, nonblock인가
- https://velog.io/@codemcd/Sync-VS-Async-Blocking-VS-Non-Blocking-sak6d01fhx
Sync VS Async, Blocking VS Non-Blocking
1. Sync VS Async 먼저 Synchronous와 Asynchronous의 어원을 보자. Synchronous의 Syn는 together이란 뜻이고, chrono는 time이다. 따라서 Synchronous는 함께 시간을 맞춘다라는 뜻으로 해석된다. 반면에 A
velog.io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CompressedOops
- ranking
- Kafka
- Dynamodb
- Consumer
- DESIGN
- JVM
- OOP
- shenandoah
- kerberos
- GC
- Certificate Chain
- SSL
- oops
- authentication
- AWS
- Java
- Intermediate Certificat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